[애니멀피플]
바이러스 200종 보유, 다른 동물로 흘러넘쳐…비행 진화와 관련
바이러스 200종 보유, 다른 동물로 흘러넘쳐…비행 진화와 관련
![자신의 힘으로 나는 유일한 포유류인 박쥐는 오랜 진화과정에서 비행에 힘입어 종 다양성과 함께 바이러스에 대한 내성을 얻었다. 이집트과일박쥐의 비행 모습.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 자신의 힘으로 나는 유일한 포유류인 박쥐는 오랜 진화과정에서 비행에 힘입어 종 다양성과 함께 바이러스에 대한 내성을 얻었다. 이집트과일박쥐의 비행 모습.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http://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885/598/imgdb/original/2020/0130/20200130501199.jpg)
자신의 힘으로 나는 유일한 포유류인 박쥐는 오랜 진화과정에서 비행에 힘입어 종 다양성과 함께 바이러스에 대한 내성을 얻었다. 이집트과일박쥐의 비행 모습.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
![말레이시아에 서식하는 곤충을 잡아먹는 작은위흡혈박쥐. 박쥐는 포유류 종의 20%를 차지할 정도로 다양하게 진화했다.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 말레이시아에 서식하는 곤충을 잡아먹는 작은위흡혈박쥐. 박쥐는 포유류 종의 20%를 차지할 정도로 다양하게 진화했다.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http://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830/843/imgdb/original/2020/0130/20200130501154.jpg)
말레이시아에 서식하는 곤충을 잡아먹는 작은위흡혈박쥐. 박쥐는 포유류 종의 20%를 차지할 정도로 다양하게 진화했다.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
![스리랑카에서 대형 과일박쥐 무리가 나뭇가지에 매달려 쉬고 있다. 피터 반데르 슬루스,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 스리랑카에서 대형 과일박쥐 무리가 나뭇가지에 매달려 쉬고 있다. 피터 반데르 슬루스,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http://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946/631/imgdb/original/2020/0130/20200130501152.jpg)
스리랑카에서 대형 과일박쥐 무리가 나뭇가지에 매달려 쉬고 있다. 피터 반데르 슬루스,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
![열대 과일이나 식물 가운데는 박쥐가 없으면 번식이 불가능한 종이 있을 정도로 박쥐의 생태적 기능은 크고 다양하다. 꽃을 찾은 멕시코긴혀박쥐. 미국 어류 및 야생동물국,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 열대 과일이나 식물 가운데는 박쥐가 없으면 번식이 불가능한 종이 있을 정도로 박쥐의 생태적 기능은 크고 다양하다. 꽃을 찾은 멕시코긴혀박쥐. 미국 어류 및 야생동물국,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http://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897/701/imgdb/original/2020/0130/20200130501153.jpg)
열대 과일이나 식물 가운데는 박쥐가 없으면 번식이 불가능한 종이 있을 정도로 박쥐의 생태적 기능은 크고 다양하다. 꽃을 찾은 멕시코긴혀박쥐. 미국 어류 및 야생동물국,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