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58%, 코로나 위기 상황 때 종교자유 제한 가능"
등록 :2020-09-01 19:27수정 :2020-09-01 20:02
31일 오전 다수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한 서울 영등포구 큰권능교회 입구의 모습. 연합뉴스
국민 과반은 신종 코로나19바이러스 확산 위기 상황에서는 국가가 종교의 자유를 제한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1일 기독교방송을 비롯한 개신교계 8개 언론사가 공동으로 낸 ‘코로나19의 종교 영향도 및 일반 국민의 기독교(개신교) 인식 조사 결과 보고서’에 따르면 ‘국가와 종교의 관계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의에 응답자의 58.9%는 ‘국가는 종교의 자유가 헌법에 보장되어 있어도 제한할 수 있다’는 입장을 보였다.반면 ‘국가는 헌법에 보장된 종교의 자유를 침해해서는 안 된다’라는 답변은 31.4%에 그쳤다. 나머지 9.8%는 ‘잘 모르겠다’는 반응을 나타냈다.종교행사를 비대면으로 전환한 것에 두고 67.8%는 ‘바람직하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바람직하지 않다’는 20.9%에 그쳤다.
코로나19를 전후로 종교별 신뢰도 변화를 묻는 말에 불교와 가톨릭은 ‘비슷하다’는 반응이 각각 86.8%, 83.0%로 대다수를 차지했으나 개신교는 ‘더 나빠졌다’가 63.3%로 가장 많아 개신교 신뢰도가 크게 저하한 것으로 조사됐다. ‘개신교 신뢰도가 더 나빠졌다’고 밝힌 응답자의 종교별 비율을 보면 개신교인은 24.5%로 가장 낮은 데 반해 다른 종교를 가지거나 무종교인 경우 각각 70%를 넘었다.
전체적으로 가장 신뢰하는 종교로는 원불교를 포함한 불교(27.5%)가 꼽혔다. 이어 가톨릭 22.9%, 개신교 16.3%였다. 다만, 신뢰하는 종교로 어떤 것도 선택하지 않은 경우가 33.2%로 응답 비율이 가장 높았다.
코로나19에 대한 개신교의 전반적인 대응과 관련해서는 74.0%가 ‘잘못하고 있다’고 했다. 또 응답자의 77.7%는 목사의 정치 참여에 반대했다.
코로나19 이후 개신교가 사회를 위해 가장 힘써야 할 일로는 ‘윤리와 도덕 실천운동’(34.8%), ‘사회적 약자 구제 및 봉사’(24.1%), ‘정부와 소통’(12.1%), ‘사회 통합’(8.0%) 등의 순이었다.특히 국회에서 발의된 ‘포괄적 차별금지법’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는지 묻는 질문에는 ‘이름만 들은 정도다’가 42.6%, ‘전혀 모른다’ 26.5%로 법안 내용 자체를 알지 못하는 경우가 더 많았다. 이에 대해 설문을 진행한 교계 8개 언론기관 측은 “포괄적 차별금지법을 추진하고 있는 주체들이 지난 6월 23일 발표한 국민 88.5%가 찬성하고 있다는 주장의 허구를 보여주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번 조사는 전국에 사는 남녀 1천명을 대상으로 8월 13∼21일 온라인으로 이뤄졌다. 응답자의 종교별 비율을 보면 무종교 54.1%, 개신교 19.3%, 불교 17.8%, 가톨릭 8.3%, 기타 0.6%였다.
조현 종교전문기자 cho@hani.co.kr
화보보기436
[화보] 코로나19, 국내 재확산 비상
- 한화이글스 투수 김경태 코로나19 추가 확진…신정락과 접촉
- 위중증환자 벌써 104명…병상대란 눈앞에 다가왔다
- 코로나 상대적 호황 업종도 신규 채용은 ‘좁은 문’
- 코로나에…추석 승차권 공급 절반 감축
- "국민 58%, 코로나 위기 상황 때 종교자유 제한 가능"
'법률[訴訟]=자유 평등 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대 정원 늘리는 데 의사 ‘허락’ 받는 게 옳은 일일까요?” (0) | 2020.09.02 |
---|---|
부동산·비정규직까지 꺼내며 ‘항복 도장’ 찍으라는 전공의 (0) | 2020.09.02 |
[유레카] 전광훈 목사와 ‘코로나 순교’ (0) | 2020.09.02 |
“1심 판결문 1500쪽”… ‘불법 정치개입’ 원세훈 2심도 징역 7년 (0) | 2020.09.01 |
창원시, 집회 참가 숨긴 ‘지역 감염’ 확산자에 3억원 구상금 소송 (0) | 2020.09.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