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은
사회학자, 동국대 명예교수
사회학자, 동국대 명예교수
학문이 패션 상품일까 또는 신자유주의 시장사회에서 학문도 패션 상품일 수밖에 없을까를 묻고 싶다. 이런 칼럼 제목을 떠올린 것은 재직하던 학과의 후배 교수로부터 사회학과가 통폐합 위기에 처할지도 모른다는 걱정을 들으면서다. 국내 몇몇 대학들에서 사회학과가 어떻게 통폐합되면서 위기를 맞는가를 일목요연하게 보여주는 파일도 보게 되었다. 일명 구조조정이라는 이름으로 대학에서 자행되는 횡포에 대해 생각의 갈피를 못 잡고 심란해하면서 산책에 나섰다가 우연히 어떤 아이들과 마주치면서 우리 교육이 지향하는 가치와 감수성은 어떤 것일까를 묻는 질문이 더해져 무거운 마음으로 돌아왔다.
미세먼지가 잠깐 뜸한 지난 3월 초에서 중반으로 넘어가는 어느 날이었다. 사직동의 가파른 동네를 걷다 보면 한양도성 순성길이라는 표지판을 밟게 되고 생각지 않게 인왕산 입구에 닿는 길목에 이르는데 은은한 향기가 날아왔다. 오랜만에 미세먼지 마스크를 벗어던진 터라 코를 스치는 향기에 취해 돌아보니 그냥 지나치던 어느 집 담 너머 고목에 매화 멍울이 터지고 있었다. 그 앞에 서서 무거운 상념을 날리고 있었는데 맞은편 인왕산 둘레길을 내려오는 열살 남짓해 보이는 초등학교 여자애 두명과 그보다 어린 남자애 한명이 “와 팝콘이다” 소리치며 달려와 내 옆에 섰다. 뒤따라서 엄마들도 왔다. 나도 모르게 “얘들아, 이거 매화꽃이야. 팝콘처럼 보이니?” 웃으면서 말을 걸었다. 아이들도 엄마도 아무 반응이 없었다. 그 자리를 서둘러 뜨면서 “아 매화였군요. 이 향기…” 이런 말 한마디쯤이 너무 그립고 아쉬웠다.
마침 학원 강사 경험이 있는 제자가 들렀기에 그 이야기를 했더니 학교나 학원가에서 어쩌면 매화를 팝콘으로 본 것이 기발하다고 칭찬받을지도 모른다고 했다. 특히 엄마들은 아이들의 그런 튀는 발언에 고무되었을지도 모른다는 것이다. 미세먼지에 신경 쓰며 마스크를 준비해 인왕산 둘레길 산책에 아이들을 데리고 나선 매우 ‘교육적’인 듯 보이는 엄마들이 설마 그렇겠느냐고 반론을 제기해봤는데 교육 현장을 웬만큼 안다는 제자는 고개를 저었다. 추운 겨울을 이겨내고 맨 먼저 꽃망울을 터뜨리는 매화를 알아보는 것은 우리 교육에서 하나도 중요한 일이 아닌 것이다. 매화가 팝콘이라고 불린 순간 향을 품은 매화라는 기의가 날아간 ‘텅 빈 기표’가 되어 암울해졌다. 우리 교육의 평가 시스템의 성공작이 될수록 ‘텅 빈 기표’를 쏟아내는 실력자가 되는 것이 아닐까 하는 의구심이 드는 요즘이다. 명문 대학에 그 어렵다는 고시 출신자들이 포진한 우리 정치판 엘리트들이 내지르는 ‘헌법 수호’ ‘독재 타도’ 등의 ‘텅 빈 기표’가 매화를 팝콘이라 부른 ‘텅 빈 기표’와 겹쳐진다.
포퓰리즘과 성과주의는 과하게 교육의 영역마저 지배하고 있다. 거기에 더해 교육 사업은 명분도 있고 돈도 되는 비즈니스다. 단기 순익을 추구하는 기업 모델을 흉내내는 교육기관의 업적 평가 시스템에서 교육도 학문도 돈으로 환산되는 가치로 값이 매겨진다. 취업하는 데 도움이 안 되는 인문학은 ‘문과충’(문과+벌레) ‘문레기’(문과+쓰레기) 등으로 비하되고 당장 돈벌이가 안 되는 (안 될 것으로 보이는) 학문이나 학과들은 구조조정당하는 것이 당연시된다. 사회과학에서는 기초학문인 사회학과가, 자연과학에서는 물리학이나 화학이 찬밥 신세다. 대학에서 하나의 학문 또는 학과를 고사시키는 일은 생각보다 쉽다. 졸업생 취업률을 학과 평가에 삽입하고 교수 채용에 반영하면서 은퇴 교수 자리를 채워주지 않으면 학과는 당연하게 비인기 영세 학과가 되어 학생들이 모이지 않는다.
사회학의 예를 들면 젊은 세대에게 인기가 있음직하고 그럴싸하게 보이는 학문들과 합쳐 사회학 앞뒤로 붙여놓은 기형적 이름의 학과명이 만들어진다. 사회·복지학과, 사회·언론정보학과 또는 정보사회학과였다가 시간이 지나면 사회학이라는 이름이 살그머니 빠진다. 이른바 학생들을 유인할 수 있는 학과명으로 개칭된다. 역사학이나 철학 또는 어문학과도 유사한 경로를 밟는 경우가 많다. 학과(문)의 통폐합 안은 투표라는 ‘매우 민주적 절차’를 통해 가결되기도 한다. 학문의 대중화라는 기치를 내걸거나 학문도 패션처럼 트렌드 좀 따르면 무슨 문제가 있냐고 질타당하기도 한다. 글로벌 지식 담론 생산에 적극적인 폴란드 사회학자 지그문트 바우만은 “학문의 대중화는 모든 것이 시장적 유용성을 증명해야 하는 시장독재 시대의 위대한 구호인 ‘소비자의 니즈’를 추종하라는 명령에 굴복한 것”이라고 <사회학의 쓸모>에서 깊이 우려를 표한다. 학문 세계에서 유행이라는 올가미가 불안감보다도 더 위해하다는 것이다.
대학 캠퍼스에는 본부 건물뿐만 아니라 단과대 건물 도처에 ‘축 ㄱ사업선정 ○○억원 수주’ 등의 펼침막들이 걸려 있다. 때로 그 펼침막에는 프로젝트 수주액 순위별로 교수명이 적혀 있기도 하다. 연구비 액수에 맞춰 논문 편수가 정해진 프로젝트 공고도 부끄럼 없이 나온다. <정의란 무엇인가>로 한국에서 선풍적 인기를 모은 사회철학자 마이클 샌델 교수가 쓴 <돈으로 살 수 없는 것들>의 서문은 이렇게 시작한다. “세상에는 살 수 없는 것들이 있다. 하지만 요즘에는 그리 많이 남아 있지 않다.” 이 책의 기본적인 문제의식은 ‘시장경제’가 아니라 ‘시장사회’를 원하는가 묻는 데서 시작한다. 무엇을 사고팔아야 할지 어떤 재화가 비시장가치의 지배를 받아야 할지 질문한다. 즉, “돈의 논리를 적용하지 말아야 하는 영역은 무엇일까”를 질문하는 것이다.(그는 리버럴 철학자다.)
우리 교육이 위기라거나 대학은 죽었다는 경고등이 켜진 지 오래되었다. 사교육비만 줄이고 허울뿐인 교육 평준화를 내건다고 해결될 일이 아니다. 대학에서 온갖 이름으로 등급화된 교수 명칭을 창안해서 시간강사를 없앤다고 대학이 대학다워지는 것이 아니고 현란한 영문명 약자로 만들어낸 두뇌한국(BK), 인문한국(HK), 인문한국플러스(HK+), 코어, 프라임 등 연구 사업단을 만들어 많은 프로젝트를 한다고 인문 사회 기초 학문이 살아나는 건 아니다. 경제에서 펀더멘털이 약하면 치명적이라면서 학문의 펀더멘털이 붕괴되고 있다는데 눈 하나 깜짝하지 않는 사회. 우리 사회가 지향해야 할 가치와 감수성에 대한 회의가 실종된 교육에 더해 시장 논리로 움직이는 대학에서 어떤 학문이 살아남을 수 있을지 장담할 수 없다. 돈으로 살 수 없는 얼마 남아 있지 않은 항목에 학문이 끼어들 여지가 있을지 머리를 맞대야 할 것 같다. 그런데 그럴 수 있는 머리와 가슴을 키워내는지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