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선장, 배 기울어진 뒤에 나타나… 선원들과 허둥대다 탈출
동아일보 기사입력 2014-04-19 03:00:00 기사수정 2014-04-19 03:00:00
[진도 여객선 침몰]
사고 당시 브리지에선 무슨 일이
진도 여객선 침몰 사고 당시 선장 이준석 씨(69)가 선박을 제어하는 ‘브리지’(선교)에 없었던 것으로 드러난 가운데 세월호가 처음 기울기 시작하면서 침몰할 때까지 브리지에서 어떤 상황이 벌어졌는지 궁금증이 증폭되고 있다. 브리지는 선장과 항해사, 조타수 등이 배를 조종하는 가장 중요한 공간이다.
동아일보는 18일 조타수와 기관사 등을 만나 사고 직후부터 탈출까지 선장과 1·2·3등 항해사 등 핵심 선원들의 행적을 재구성해 봤다.
○ 사고 직후 무용지물 된 수평장치
인천을 떠나 제주를 향해 남쪽으로 운항하던 세월호가 오른쪽으로 급선회한 16일 오전 8시 49분 당시 브리지에는 3등 항해사 박모 씨(26·여)와 조타수 조모 씨(55)가 근무하고 있었다. 선장은 선장실에서 자고 있었다. 세월호 브리지 근무는 조타수와 항해사가 1개 조가 돼 2인팀 2개 조, 3인팀 1개 조가 8시간씩 나눠 24시간 근무를 서고 선장이 별도의 당직시간 없이 틈틈이 감독하는 식으로 이뤄졌다. 박 씨와 조 씨는 사고 당일 오전 8시부터 근무 교대를 했다.
급선회하면서 세월호는 순식간에 선원들이 이동하기조차 힘들 정도로 가파르게 기울었다. 근무를 마치고 객실에서 쉬고 있던 조타수 오모 씨(58)가 브리지 문 앞에 가보니 선장 이 씨가 한 손으로 문고리를, 다른 손으로 문을 잡고 안으로 들어가려 애쓰고 있었다. 브리지 문 옆에 있는 선장실에서 자다가 사고를 직감하고 나온 것이다. 오 씨는 이 씨를 뒤에서 밀어 브리지 안으로 들여보냈다.
사고 직후 브리지에는 선장과 1등 항해사 2명, 2·3등 항해사 각 1명, 조타수 3명 등 8명이 모두 모였다. 선장은 넘어지지 않기 위해 해도대(해로가 그려진 도면이 올려진 책상)를 붙들고 버티며 “구조를 요청하라”고 지시했다. 이에 조타수 오 씨가 문 반대편 10여 m 거리에 있는 초단파무선통신(VHF) 무전기를 세 번째 시도 만에 간신히 잡아 2등 항해사 김모 씨에게 전달했다. 김 씨는 해경과 제주 항만동에 “빨리 와 달라. 배가 기우니 구조해 달라”고 요청했다. 오전 8시 55분이었다.
구조 요청 직후 선장은 “힐링을 잡으라”고 지시했다. 힐링펌프는 배 좌우측에 설치된 물탱크로 배가 한쪽으로 기울면 반대편으로 물을 대거 이동시켜 수평을 유지하게 해주는 장치다. 힐링 스위치를 누르면 자동으로 균형이 조절된다. 조타수 박모 씨(60)가 간신히 스위치를 눌렀지만 이미 배가 크게 기운 상태라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다. 여성인 3등 항해사 박 씨는 더이상 몸을 지탱하지 못해 좌현 문 구석에 밀려가 있었다.
○ 승객에게 전해지지 않은 ‘퇴선 명령’
힐링에 실패하자 선장은 1등 항해사 강모 씨에게 “승객들에게 구명조끼를 입히고 대기시키라”고 지시해 객실에 안내방송이 울려 펴졌다. 선장은 이어 “구명정을 터뜨리라”고 지시했다. 1등 항해사 강 씨와 조타수 박 씨가 좌현 미닫이 출입문을 열고 밖으로 나가 구명정에 접근하려 했지만 배가 이미 크게 기운 상황이라 구명정 주위에 둘러진 펜스를 넘지 못했다. 이 둘은 펜스를 붙들고 버틸 뿐 구명정을 펴지도, 다시 브리지로 돌아가지도 못한 채 구조대를 기다렸다.
구명정 펴는 것까지 실패하자 선장은 오전 9시 40분경 책상에 매달린 채 큰 소리로 ‘퇴선 명령’을 내렸지만 이는 승객들에게 전달되지 않았다. 퇴선 명령은 배를 포기한다는 의미로 통상 선장이 1등 항해사에게 내리는데 이때는 1등 항해사 강 씨가 브리지 밖에 나가 있는 상태라 명령 전달체계가 흐지부지해졌다. 당시 현장에 있던 선원들은 “퇴선 명령이 누구에게 전해졌고 어떻게 이행됐는지 모르겠다”며 “객실에 방송되지 않은 걸로 안다”고 말했다.
당시 승객들은 구명조끼를 입고 대기하라는 안내방송만 들었을 뿐 퇴선 명령 방송을 듣지 못해 대다수가 하염없이 객실에서 기다리고만 있었고, 대규모의 실종·사망자를 내는 결과를 낳고 말았다. 선장 이 씨 등은 승객들이 배를 탈출하고 있는지 확인도 하지 않은 채 먼저 배를 버리고 피하는 데 급급했다.
○ 1시간여 만에 핵심 선원 모두 탈출
브리지에 있던 선장, 항해사, 조타수 등 8명과 기관장, 기관사 등 7명은 오전 10시경 해경 구조보트에 모두 구조됐다. 사고 발생 직후 1시간여 만에 배의 핵심 선원들이 줄줄이 배를 빠져나간 것이다.
브리지에 있던 선장과 선원들은 좌현 미닫이문으로 탈출해 구조됐다. 퇴선 명령 직후 선장은 돌연 브리지 안으로 미끄러져 내려오는 필리핀 가수 부부에게 밀려 좌현 문에 강하게 부딪혔다. 이 충격으로 문이 부서져 열렸고 선장이 밖으로 밀려나왔다. 그 뒤를 이어 여성인 3등 항해사와 필리핀 부인을 시작으로 선원들이 몰려나왔다. 8명 중 2, 3명은 구명조끼를 입었고 선장은 밖으로 튕겨져 나갔기 때문에 구명조끼를 입지 않은 상태였다.
엔진을 책임지는 기관실 선원들은 선장의 퇴선 명령 전에 이미 근무지를 비우고 대피한 것으로 밝혀졌다. 기관장 박모 씨(48)는 오전 8시 50분경 브리지로 들어와 선미 하단부에 있는 기관실에 직통전화를 걸어 대피를 지시했다고 한다. 이 장면을 본 한 선원은 “선장 허락도 없이 근무지 이탈을 지시하는 걸 보고 어처구니가 없었다”고 말했다. 기관실에 있던 선원 6명은 이 전화를 받고 갑판으로 올라와 몸을 피했다가 기관장과 함께 오전 10시경 모두 구조됐다.
선장은 해경의 첫 구조선을 타고 배를 떠날 때는 자신의 신분을 제대로 밝히지 않았다. 해경에 따르면 이 선장은 16일 오전 10시 구조 직후 신원을 묻는 해경의 질문에 ‘일반 시민’이라고 답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남방과 니트를 입은 채 승객인 척 구조대원의 안내를 받았다. 이어 오전 11시 16분경 이 선장은 선원들과 함께 구조선에서 내렸다. 이 선장은 이후 구조자들이 임시로 머물던 팽목항 매표소 건물로 들어갔다. 이 선장은 담요를 받고 구조된 승객 틈에 끼여 현장요원의 안내를 받았을 뿐 누군가에게 사고 현장을 설명하거나 승객들을 돕지 않았다.
해경이 이 선장에게 특정범죄가중처벌법상 도주 혐의를 적용시킨 것은 이 같은 이 선장의 행태를 확인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한 관계자는 “자동차 사고가 나 경찰이 출동하면 자신이 운전자임을 밝히지 않고 현장을 이탈하면 뺑소니가 되는 것처럼 선장은 해경에 도착했을 때 자신이 선장임을 밝혔어야 했다”고 말했다. 이 선장은 이송된 병원에서 젖은 지폐를 말리고 있다가 동아일보 기자가 신원을 묻자 그냥 “승무원”이라며 “사고에 대해선 전혀 모른다”고 답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 선장은 16∼18일 잇달아 목포해양경찰서에 조사를 받으러 와 “면목 없고 죄송스럽다”는 말만 반복하며 울먹였다. 기관보조원인 조기수 박모 씨(60)도 경찰서에서 기자들과 만나 “(승객들을 먼저 구하지 못해) 할 말이 없다”며 고개를 떨궜다.
목포=조동주 djc@donga.com ·여인선·박성진 기자
사고 당시 브리지에선 무슨 일이
진도 여객선 침몰 사고 당시 선장 이준석 씨(69)가 선박을 제어하는 ‘브리지’(선교)에 없었던 것으로 드러난 가운데 세월호가 처음 기울기 시작하면서 침몰할 때까지 브리지에서 어떤 상황이 벌어졌는지 궁금증이 증폭되고 있다. 브리지는 선장과 항해사, 조타수 등이 배를 조종하는 가장 중요한 공간이다.
동아일보는 18일 조타수와 기관사 등을 만나 사고 직후부터 탈출까지 선장과 1·2·3등 항해사 등 핵심 선원들의 행적을 재구성해 봤다.
○ 사고 직후 무용지물 된 수평장치
인천을 떠나 제주를 향해 남쪽으로 운항하던 세월호가 오른쪽으로 급선회한 16일 오전 8시 49분 당시 브리지에는 3등 항해사 박모 씨(26·여)와 조타수 조모 씨(55)가 근무하고 있었다. 선장은 선장실에서 자고 있었다. 세월호 브리지 근무는 조타수와 항해사가 1개 조가 돼 2인팀 2개 조, 3인팀 1개 조가 8시간씩 나눠 24시간 근무를 서고 선장이 별도의 당직시간 없이 틈틈이 감독하는 식으로 이뤄졌다. 박 씨와 조 씨는 사고 당일 오전 8시부터 근무 교대를 했다.
급선회하면서 세월호는 순식간에 선원들이 이동하기조차 힘들 정도로 가파르게 기울었다. 근무를 마치고 객실에서 쉬고 있던 조타수 오모 씨(58)가 브리지 문 앞에 가보니 선장 이 씨가 한 손으로 문고리를, 다른 손으로 문을 잡고 안으로 들어가려 애쓰고 있었다. 브리지 문 옆에 있는 선장실에서 자다가 사고를 직감하고 나온 것이다. 오 씨는 이 씨를 뒤에서 밀어 브리지 안으로 들여보냈다.
사고 직후 브리지에는 선장과 1등 항해사 2명, 2·3등 항해사 각 1명, 조타수 3명 등 8명이 모두 모였다. 선장은 넘어지지 않기 위해 해도대(해로가 그려진 도면이 올려진 책상)를 붙들고 버티며 “구조를 요청하라”고 지시했다. 이에 조타수 오 씨가 문 반대편 10여 m 거리에 있는 초단파무선통신(VHF) 무전기를 세 번째 시도 만에 간신히 잡아 2등 항해사 김모 씨에게 전달했다. 김 씨는 해경과 제주 항만동에 “빨리 와 달라. 배가 기우니 구조해 달라”고 요청했다. 오전 8시 55분이었다.
구조 요청 직후 선장은 “힐링을 잡으라”고 지시했다. 힐링펌프는 배 좌우측에 설치된 물탱크로 배가 한쪽으로 기울면 반대편으로 물을 대거 이동시켜 수평을 유지하게 해주는 장치다. 힐링 스위치를 누르면 자동으로 균형이 조절된다. 조타수 박모 씨(60)가 간신히 스위치를 눌렀지만 이미 배가 크게 기운 상태라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다. 여성인 3등 항해사 박 씨는 더이상 몸을 지탱하지 못해 좌현 문 구석에 밀려가 있었다.
○ 승객에게 전해지지 않은 ‘퇴선 명령’
힐링에 실패하자 선장은 1등 항해사 강모 씨에게 “승객들에게 구명조끼를 입히고 대기시키라”고 지시해 객실에 안내방송이 울려 펴졌다. 선장은 이어 “구명정을 터뜨리라”고 지시했다. 1등 항해사 강 씨와 조타수 박 씨가 좌현 미닫이 출입문을 열고 밖으로 나가 구명정에 접근하려 했지만 배가 이미 크게 기운 상황이라 구명정 주위에 둘러진 펜스를 넘지 못했다. 이 둘은 펜스를 붙들고 버틸 뿐 구명정을 펴지도, 다시 브리지로 돌아가지도 못한 채 구조대를 기다렸다.
구명정 펴는 것까지 실패하자 선장은 오전 9시 40분경 책상에 매달린 채 큰 소리로 ‘퇴선 명령’을 내렸지만 이는 승객들에게 전달되지 않았다. 퇴선 명령은 배를 포기한다는 의미로 통상 선장이 1등 항해사에게 내리는데 이때는 1등 항해사 강 씨가 브리지 밖에 나가 있는 상태라 명령 전달체계가 흐지부지해졌다. 당시 현장에 있던 선원들은 “퇴선 명령이 누구에게 전해졌고 어떻게 이행됐는지 모르겠다”며 “객실에 방송되지 않은 걸로 안다”고 말했다.
당시 승객들은 구명조끼를 입고 대기하라는 안내방송만 들었을 뿐 퇴선 명령 방송을 듣지 못해 대다수가 하염없이 객실에서 기다리고만 있었고, 대규모의 실종·사망자를 내는 결과를 낳고 말았다. 선장 이 씨 등은 승객들이 배를 탈출하고 있는지 확인도 하지 않은 채 먼저 배를 버리고 피하는 데 급급했다.
○ 1시간여 만에 핵심 선원 모두 탈출
브리지에 있던 선장, 항해사, 조타수 등 8명과 기관장, 기관사 등 7명은 오전 10시경 해경 구조보트에 모두 구조됐다. 사고 발생 직후 1시간여 만에 배의 핵심 선원들이 줄줄이 배를 빠져나간 것이다.
브리지에 있던 선장과 선원들은 좌현 미닫이문으로 탈출해 구조됐다. 퇴선 명령 직후 선장은 돌연 브리지 안으로 미끄러져 내려오는 필리핀 가수 부부에게 밀려 좌현 문에 강하게 부딪혔다. 이 충격으로 문이 부서져 열렸고 선장이 밖으로 밀려나왔다. 그 뒤를 이어 여성인 3등 항해사와 필리핀 부인을 시작으로 선원들이 몰려나왔다. 8명 중 2, 3명은 구명조끼를 입었고 선장은 밖으로 튕겨져 나갔기 때문에 구명조끼를 입지 않은 상태였다.
엔진을 책임지는 기관실 선원들은 선장의 퇴선 명령 전에 이미 근무지를 비우고 대피한 것으로 밝혀졌다. 기관장 박모 씨(48)는 오전 8시 50분경 브리지로 들어와 선미 하단부에 있는 기관실에 직통전화를 걸어 대피를 지시했다고 한다. 이 장면을 본 한 선원은 “선장 허락도 없이 근무지 이탈을 지시하는 걸 보고 어처구니가 없었다”고 말했다. 기관실에 있던 선원 6명은 이 전화를 받고 갑판으로 올라와 몸을 피했다가 기관장과 함께 오전 10시경 모두 구조됐다.
선장은 해경의 첫 구조선을 타고 배를 떠날 때는 자신의 신분을 제대로 밝히지 않았다. 해경에 따르면 이 선장은 16일 오전 10시 구조 직후 신원을 묻는 해경의 질문에 ‘일반 시민’이라고 답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남방과 니트를 입은 채 승객인 척 구조대원의 안내를 받았다. 이어 오전 11시 16분경 이 선장은 선원들과 함께 구조선에서 내렸다. 이 선장은 이후 구조자들이 임시로 머물던 팽목항 매표소 건물로 들어갔다. 이 선장은 담요를 받고 구조된 승객 틈에 끼여 현장요원의 안내를 받았을 뿐 누군가에게 사고 현장을 설명하거나 승객들을 돕지 않았다.
한 관계자는 “자동차 사고가 나 경찰이 출동하면 자신이 운전자임을 밝히지 않고 현장을 이탈하면 뺑소니가 되는 것처럼 선장은 해경에 도착했을 때 자신이 선장임을 밝혔어야 했다”고 말했다. 이 선장은 이송된 병원에서 젖은 지폐를 말리고 있다가 동아일보 기자가 신원을 묻자 그냥 “승무원”이라며 “사고에 대해선 전혀 모른다”고 답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 선장은 16∼18일 잇달아 목포해양경찰서에 조사를 받으러 와 “면목 없고 죄송스럽다”는 말만 반복하며 울먹였다. 기관보조원인 조기수 박모 씨(60)도 경찰서에서 기자들과 만나 “(승객들을 먼저 구하지 못해) 할 말이 없다”며 고개를 떨궜다.
목포=조동주 djc@donga.com ·여인선·박성진 기자
'법률[訴訟]=자유 평등 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속력 급회전 … 통제불능 빠졌다" (0) | 2014.04.19 |
---|---|
[진도 해상 여객선 참사]구조시스템도 선장 사명감도 없었다(타이타닉·코스타호 참사 비교) (0) | 2014.04.19 |
[여객선침몰 사고]숨진 여승무원, 학생에 조끼 양보 “너희들 구하고 따라가겠다” (0) | 2014.04.18 |
“그대로 있어라” 방송하면서…승무원들은 이미 탈출 (0) | 2014.04.18 |
[사설]통곡의 대한민국… 말뿐인 ‘안전 행정’ 통렬하게 반성하라 (0) | 2014.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