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지성팀 선임기자 작가 조세희를 만났다. 오랜만이었다. 얼마 전 신문사의 후배 기자가 낸 책이 계기가 되었다. 책동네 사람들 사이에서 ‘표사’라 불리는, 책 뒤표지 추천글을 그가 쓴 것. 감사 인사를 드릴 겸 만나는 자리에 몇 사람이 함께했다. 책을 쓴 기자와 이 글의 필자를 포함해, 2008년에 나온 책 <침묵과 사랑>의 공저자들이었다. 조세희의 대표작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난쏘공) 출간 30주년을 기념하는 그 문집이 나온 것도 벌써 10년 전이니, 올해는 <난쏘공> 출간 40주년이 되는 해다.이미 십수년 전에 200쇄를 훌쩍 넘기고 지금도 꾸준히 읽히는 현대의 고전이 <난쏘공>이다. 그 책 이후 조세희는 소설집 <시간여행>(1983)과 사진 산문집 <침묵의 뿌리>(1985)를 냈지만, 그 뒤로는 30년이 넘도록 침묵을 지키고 있다. 더 문제적인 것은 그가 90년대 벽두에 <하얀 저고리>라는 장편을 잡지에 연재하고도 책으로 내지 않고 있다는 사실이다. 나는 파일 상태로 그 작품을 읽어보았고, 어느 해엔가는 그 소설이 곧 책으로 나온다는 기사를 쓰기도 했다. 특종이라 생각했지만 오보였다. <침묵과 사랑>에 보탠 내 글의 제목은 ‘<하얀 저고리>를 기다리며’였다. 이번 만남의 계기가 된 후배 기자 책의 표사 한 대목이 내게는 그 글에 대한 대답처럼 다가왔다. “나는 쓰는 일을 안 한 것이 아니라 쓰지 않는 일을 한 것이다.”궤변처럼 들릴 수도 있겠다. 이 담대하고 슬픈 ‘선언’을 둘러싼 앞뒤의 문장들을 살펴보면 작가의 뜻에 좀 더 다가갈 수 있을지 모르겠다. “언어가 시대를 바꿔 뜻을 배반할 때 언어의 변신과 대결하며 침묵하는 것. 쓰지 않는 것은 스스로에게 건 싸움이었다. (…) 글이 무력한 시대에 처음부터 쓰이지 않는 것이 글의 복일 수도 있다.”언어의 배반과 글의 무능력이라는 현실 앞에서 작가의 선택지가 역설적으로 침묵일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 말에 모두가 동의하지는 않겠지만, 적어도 침묵하는 작가의 고통과 슬픔을 헤아릴 필요는 있다고 본다. 그렇다면 조세희의 ‘침묵의 뿌리’는 무엇일까. 출판사를 옮겨 새로 낸 2000년 신판 <난쏘공> ‘작가의 말’에서 그는 이렇게 썼다. “혁명이 필요할 때 우리는 혁명을 겪지 못했다. 그래서 우리는 자라지 못하고 있다.” <난쏘공>의 주인공 일가만이 아니라 소설 바깥의 한국인들 모두가 자라지 못한 난쟁이라는 인식이다.그날 만남에서 조세희는 “난장이한테 미안해 죽겠다”고 말했다. 그가 미안해하는 것은 소설 <난쏘공>이기도 하고 우리 사회의 난쟁이들이기도 한 것 같았다. <하얀 저고리> 출간 의사를 묻는 질문에는 단호하게 고개를 저었지만, 어떤 식으로든 시대와 사회에 관해 발언하는 글을 쓰고 싶다는 뜻을 내비치기도 했다.세시간 남짓한 만남 동안 조세희의 말은 2005년 11월 여의도 농민대회 당시로 자주 돌아갔다. 두 농민이 경찰 폭력으로 숨진 집회였다. 그는 “내가 날아다녔던 시절”이라고 그 무렵을 회고했다. 카메라를 들고 시위 선도차량에 올라 사진을 찍던 때였다. 쇠약해진 그는 당시의 건강한 신체와 열정을 그리워하는 듯도 싶었다. 모임이 끝날 무렵 그는 “석달 동안 할 얘기를 세시간 만에 다 했다”고 말했다. 막스 피카르트의 책 <침묵의 세계>에는 이런 문장이 나온다. “말은 침묵으로부터, 그리고 침묵의 충만함으로부터 나온다.” 조세희의 완고한 작가적 침묵 아래에는 얼마나 많은 말들이 웅크리고 있을 것인가. 그리고 그것은 언제 어떻게 터져 나올 것인가.bo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