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은 칼럼] 어떤 언어로 소통할 수 있는가라는 물음 등록 :2021-04-01 14:17수정 :2021-04-02 02:05 가난한 층의 일상어와 중산층이 쓰는 일상어의 발음이나 어의와 어휘가 다르다는 것만이 문제가 아니었다. 한번은 너무 자주 일자리를 바꾸는 이 집의 장남에게 “성실하게 살라”고 말했는데 “성실한 게 뭐예요?”라고 물었다. ‘기술공고도 나왔는데 성실하다는 단어를 모르다니!’라고 생각했는데 이제 생각해보니 단어 뜻을 물은 게 아니었다는 생각이 든다. 영화 를 보고 나오면서 맨 먼저 떠오른 생각이 이 칼럼의 제목이다. 언어의 계급성과 위계성이 새로운 문제처럼 다가왔다. 미국 자본으로 미국에서 미국 시민(비록 한인 2세이지만)이 만든 영화임에도 극중 대화에서 영어 비율이 50%가 안 된다는..